1936년생으로서 대구 출생인 김 전 회장은 한국을 대표하는 기업인으로 추앙받다 외환위기 직후 부도덕한 경영인으로 추락하기까지 파란만장한 일생을 살았답니다. 한국전쟁으로 부친이 납북된 이후 서울로 올라와 경기중과 경기고를 나왔습니다. 연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1966년까지 섬유회사인 한성실업에서 일하다 만 30세인 1967년 자본금 500만원, 직원 5명으로 대우실업을 창업했답니다.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이 별세함에 따라 18조원에 가까운 추징금도 직접 환수가 불가능해졌답니다. 다만 이 추징금은 분식회계 사건 당시 공범으로 유죄 판결을 확정받은 전직 대우그룹 임원들이 연대해 내도록 돼 있어 미납 추징금 자체가 소멸되지는 않을 전망이랍니다.
12월 10일 법조계에 따르면 김 전 회장은 2006년 11월 항소심에서 징역 8년6개월과 벌금 1000만원, 추징금 18조원 정도를 선고받았답니다. 한국은행과 당시 재경부 장관에게 신고하지 않고 해외로 송금한 돈과 해외에 도피시킨 재산에 해당하는 금액이랍니다. 김 전 회장과 검찰이 상고를 포기하면서 판결이 확정됐답니다. 김 전 회장은 이후 14년 동안 추징금 미납 순위 1위를 지켜왔습니다. 김 전 회장은 이듬해 연말 특별사면을 받았지만 추징금이 사라지지는 않았답니다.
검찰은 지금까지 김 전 회장 측으로부터 900억원정도를 거둬들였답니다. 전체 추징금 대비 집행률은 0.498%에 불과합니다. 검찰은 김 전 회장의 재산을 일부 찾아 추징하면서 3년마다 돌아오는 시효를 연장해왔답니다. 이제는 그에게 직접 추징금을 거둬들일 방법이 사실상 사라졌다고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추징금을 함께 물도록 판결받은 전직 대우그룹 임원들로부터 남은 추징금을 집행할 수는 있답니다.
대법원은 김 전 회장이 해외도피 중이던 2005년 5월 강병호 대우 전 사장 등 임원 7명에게 추징금 23조원을 선고했답니다. 김 전 회장은 이들과 공범으로 묶여 있어 추징금을 연대해 부담하게 돼 있습니다. 각자 인정된 범죄 혐의와 환율 등 차이로 선고된 금액은 다르지만 사실상 같은 추징금인 셈이랍니다. 실제로 검찰이 현재까지 집행한 892억원 가운데 5억원가량은 연대책임이 있는 다른 임원들에게서 나왔답니다. 검찰 관계자는 “연대책임을 지는 임원 등을 상대로 추징금 집행을 계속해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답니다.